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QL
- 디코봇만들기
- 이진트리
- 대외활동후기
- 스레싱
- api정리
- 토스IH
- SWMaestro
- computerscience
- Docker
- cs
- 페이지교체알고리즘
- sqllite
- solvesql
- 소마14기
- 세그멘테이션
- 멀티프로세싱
- CICD
- discord봇
- 인접리스트
- devocean
- 스택
- 운영체제
- 힙
- 디코
- 페이지히트
- 라운드로빈
- 페이지폴트
- 캐시매핑
- CPU스케줄링
- Today
- Total
목록DEV/Computer Science (11)
하마코

안녕하세요! 하마코입니다. 😊 시간복잡도, 공간복잡도, 포인터를 공부했던 1탄에 이어스택, 큐, 트리, 이진트리, 인접행렬, 인접리스트 등자료구조 개념들을 더 공부해보겠습니다-! 자료구조 공부 완료해볼게요! 😎 스택 (stack)스택은 가장 마지막으로 들어간 데이터가 가장 첫 번째로 나오는후입선출(LIFO, Last In First Out)을 가진 자료구조입니다.재귀적인 함수, 알고리즘 에 사용되며 웹 브라우저 방문 기록 등에 쓰입니다.시간복잡도- n번째 참조, 탐색 : O(n) / 가장 앞부분 참조, 삽입, 삭제(n번째 제외) : O(1)#include using namespace std;stack stk;int main() { ios_base::sync_with_stdio(false); ..

안녕하세요! 하마코입니다. 😊 교수님들도 항상 강조하시는 자료구조! 알고리즘을 설계할 때도 정말 기본이 되고,실제 개발을 할 때도 자료구조의 필요성을 많이 느껴서이번에 더 열심히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자료구조 공부 시작해볼게요 💪🏻 자료구조란?자료구조(Data Structure)는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하고 수정, 삭제, 탐색,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집합입니다.특정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할 때 해당 로직에 가장 효과적인 자료구조를 찾아서 쓰는 것이 중요하기에자료구조를 명확히 알아두어야 합니다. C++ 기본#include // 헤더파일using namespace std; // cin/cout 쓸 때 std:cin 해야되는데 이를 기본으로 설정함string a; // 문자열 선언int main()..

안녕하세요! 하마코입니다. 😊 개발자에게 필요한 운영체제 공부 마지막을 달리고 있는데요!가상메모리를 공부했던 1탄, 프로세스와 스레드를 공부했던 2탄에 이어CPU 스케줄링과 캐시, 메모리할당을 공부해보겠습니다. 📚 CPU 스케줄링 알고리즘CPU가 어떤 프로세스를 선택할 건지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통해 선택되며 효율적으로 선택하는 게 중요합니다.여기서 '효율적'이란 아래 내용을 만족하는 상황입니다.CPU 사용률이 높은가?단위 시간당 작업을 마친 프로세스의 수가 높은가? = 처리량이 높은가?작업을 요청한 프로세스가 작업을 시작하기 전 대기하는 시간은 짧은가?다양한 상황에 따라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나누어지며, 방식은 크게 비선점형/선점형으로 나뉩니다. 비선점형 방식(non-preemptive)비선점형 방..

안녕하세요! 하마코입니다. 😊 저번에 운영체제 1탄에서 가상메모리와 관련된 내용들을 공부해보았는데요!오늘은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나오는 프로세스, 스레드 등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오늘도 열심히 공부해보겠습니다! 프로세스와 스레드프로세스(Process)는 메모리에 올라와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입니다.프로그램은 실행 가능한 코드 자체를 의미해서 프로세스와는 다릅니다. (정적인 파일-exe, py 등) 스레드(Thread)는 프로세스 내 작업의 흐름을 지칭합니다.크롬 창 세 개를 띄우면, 각각의 탭이 독립적인 스레드처럼 작동하여 프로세스 3개가 생깁니다.프로세스스레드코드, 데이터, 스택, 힙 메모리 영역을 기반으로 작업프로세스 내의 스택 메모리를 제외한 다른 메모리 영역을 프로세스 내의 다른 스레드들과 ..

안녕하세요! 하마코입니다. 😊 프로그램 설계, 사용 시 꼭 알아야하는 운영체제 !운영체제는 컴퓨터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와 하드웨어 사이를 이어주는 소프트웨어인데요.과정을 그림그리듯 정리해보면 이해가 잘 되더라고요! 오늘도 열심히 공부해보겠습니다. 👩🏻💻 운영체제와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운영체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사이에서 자원 관리,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 파일 시스템 등을 담당해요!운영체제는 하드웨어 위에 깔려있어서, 위의 응용 프로그램들이 잘 작동하도록 도와주는 '중간 관리자' 역할을 합니다. 컴퓨터 시스템은 보통 아래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하드웨어 : CPU, 메모리, I/O 장치운영체제 : 자원 관리, 사용자 프로그램 실행 보조시스템 프로그램 : 컴파일러..

안녕하세요! 하마코입니다. 😊트래픽, 토폴로지, 유니/멀티/브로드캐스트, LAN/MAN/WAN을 공부했던 1탄에 이어서네트워크 필수 개념인 TCP/IP, OSI 7계층, 라우팅을 공부해보겠습니다! TCP/IP 4계층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P(Internet Protocol)은 장치들이 인터넷 상에서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쓰는 독립적인 프로토콜의 집합을 의미합니다.OSI 7계층의 경우, 이론적으로 7개의 계층으로 네트워크 통신 과정을 나눠서 설계한 모델이고TCP/IP 모델은 실제로 사용하는 현실 모델로 4계층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Application Layer애플리케이션 계층은 사람들이 직접 사용하는 인터넷 서비스가 동작하는 최상위 계층입니다..

안녕하세요! 하마코입니다. 😊 컴퓨터는 대부분 인터넷이나 다른 컴퓨터들과 연결되어 작동하죠! 웹, 게임, 이메일, 클라우드 등 네트워크 기반인데요!오늘은 CS 과목 중 '네트워크' 과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네트워크란?네트워크란 노드와 링크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리소스를 공유하는 집합을 의미합니다.노드 : 서버, 라우터, 스위치 등 네트워크 장치링크(엣지) : 유선 또는 무선과 같은 연결매체 (와이파이나 LAN) 트래픽이란?트래픽은 특정 시점에 링크 내의 흐르는 데이터의 양을 말하는데요.서버에 저장된 파일(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을 클라이언트(사용자)가 다운할 때 발생되는 데이터 누적량을 뜻해요.그래서, "트래픽이 많아졌다"는 얘기는 "흐르는 데이터가 많아졌다"를 뜻합니다.100KB 이미지를 ..

안녕하세요! 하마코입니다. 😊 개발하다보면 클라우드 개념도 중요하죠!특히 SaaS(사스), PaaS(파스)는 기본 개념으로 요즘엔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일반인들도 많이 알고 있더라고요!오늘은 클라우드와 관련된 기본 개념들을 알아보겠습니다. 가상머신 Virtual Machine클라우드 서비스는 내가 아닌 다른 회사의 공급자가 호스팅하고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프라, 플랫폼 또는 소프트웨어를 말하는데요.클라우드를 쉽게 이해하기 위한 예시로는 Google Docs, Microsoft 365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클라우드를 작동시키는 것은 '가상머신'입니다.가상머신이란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한 것을 말하는데요. 전통적인 배포 방식이라면, 물리적인 컴퓨터 한 대에 하나의 ..